2009년 6월 20일 토요일

자발성에 얼마만큼의 가치를 줘야 할까?

예를 들어보자.
A,B 두 사람이 있다. A는 일을 매우 잘하지만 시키지 않으면 일하지 않는다. B는 해야된다고 생각하는 일을 자발적으로 수행한다.
초반에 A는 애초에 의문을 가지지 않는다. 그대로의 빠르고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낸다. 그리고 A는 개선하지 않는다. 그 시점부터 A는 멈춘 상태이다. B는 주어진 일의 이면에 목적을 생각한다. 그래서 B는 무작정 일에 파고들지는 않는다. 목적과는 관계없다면 과감히 쳐버리기도 한다. 그리고 지시가 주어지지 않더라고 미리 목적을 향한 나름의 작업을 해둔다. 이것은 나중에 요긴한 경우가 많다. 필요한 시기에 이미 완성된 것을 내보여서 깜짝 놀라게 만들기도 한다. 시일이 지나면 성과는 확연히 다르다.
자발성 또는 열정은 그 어떤 것도 비교할 수 없는 우위에 있는 요소이다. 성과는 조만간에 역전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회의 인식은 그렇지않다. 권한이 있다면 기꺼이 B를 기꺼이 승진시킬 것이다. 그런데 부장급의 생각은 다른 것 같다. A만을 유능하다고 생각한다. 애초에 B의 의견은 들을 생각도 하지 않는다. 궁극적으로 B가 생각한 방향으로 간다고 하여도 오히려 B를 원망할 뿐이다. 실제로 '내 생각에는 B가 가장 유능하다'는 의견에 '그것은 결과물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얘기를 했었다. '결과물도 뛰어나다'고 했지만 그의 결과물이란 결국 절대복종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듯이 보인다. B는 쓰지 못하고 버려질 결과물을 싫어하기 때문에 다른 의견도 제시하기 때문이다. B는 길을 바로잡기를 원한다. 예정된 실패는 피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부장급은 버려질 결과물도 토달지 않고 만들기를 바라고 그걸 성과라고 생각한다. 버려지고 버려지고 버려진 후 마지막에 나오는 것을 처음부터 얻을 생각은 하지도 않는 것이다. 그들에게 성과란 무식하게 반복한 절대적 시간인 것이다.

도대체 자발성을 왜 눌러버려야 하는 요소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그것이 결과적으로 모두에게 혜택으로 돌아가게 되는데.......다른 것은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지만 이 요소만큼은 얻기 어려운 것인데 왜 있는 것마저도 눌러 없애려는건지.